목록INTERLUDE/Automotive (11)
Information Security

LIN (Local Interconnect Network) : 차량 내부 통신 분야에서 사용되는 HW & SW 프로토콜 중 하나로서, 복잡한 차량 내부에서 다양한 기기들이 통신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저속 통신 프로토콜 —> LIN Bus와 같은 의미임 인터페이스를 제공받는 기기 : 디지털 클러스터 (Digital Cluster) : 각종 제어 모듈 (Steering Wheel, Ari Conditioner, Engine, Smart Key) ① 주 - ECU(master ECU) 주-ECU는 메시지-헤더(header)를 데이터 버스 배선으로 전송하며, 다른 데이터 버스 시스템에 대한 인터페이스(interface) 기능을 수행한다. 주-ECU는 비트-타임(tbit)을 통해 나머지 버스 스테이션들..

CAN(Controller Area Network)? 차량 내에서 호스트 컴퓨터 없이 마이크로 컨트롤러나 장치들이 서로 통신하기 위해 설계된 표준 통신 규격 +) CAN-FD는 차량 내 전자제어시스템의 데이터 트래픽 증가에 따른 병목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기존 CAN 프로토콜의 컨셉 및 특징을 그대로 사용하면서, CAN을 성능적으로 향상시킨 버전 특징 노드의 주소에 의해 데이터가 교환되는 것이 아니라 메시지의 우선순위에 따라 ID(IDentifier)를 할당하고, 이 ID를 이용해 메시지를 구별하는 방식 을 사용 자신에게 필요하다면 받아들이고, 아니라면 무시 메시지 전송 시, 에러가 감지되면 자동적으로 해당 메시지를 즉시 재전송 실시간으로 결함이 있는 노드를 감지해 해당 노드를 비활성화 함으로써 네트워크의..

자율주행 자동차 운전자의 개입 없이 주변 환경을 인식하고, 주행 상황을 판단하여 차량을 제어함으로써 스스로 주어진 목적지까지 주행하는 자동차 미국자동차공학회는 자율주행 단계를 총 0~5레벨로 구분 0레벨: 비자동화 1레벨: 운전자 지원(보조) 단계 수준(크루즈 컨트롤, 긴급 제동장치 등) 2레벨: 부분 자동화(정해진 구간에서 차선과 간격 유지, 원격 스마트 주차 보조 등) 3레벨: 시스템이 개입을 요구할 때만 운전자가 운전하는 조건부 자동화(자동차로 변경 등) 4레벨: 특수상황을 제외하면 대부분 자동차가 운전하는 고도 자동화 5레벨은 완전 자동화 원리: ‘인지-판단-제어’의 3단계 인지는 센서나 카메라를 통해 환경을 인식하는 것 판단은 인지한 상황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주행전략을 판단하는 것 제어는 실..